티스토리 뷰

목차



     

    요소수 부족 섬네일

     

     

    중국의 요소수 원료인 요소 수출 제한

     

    국내 요소수 생산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

     

    경유차, 트럭, 화물차 운행중단 우려 및 국내물류 마비 가능성도 

     

     

     

    최근 출시된 디젤차는 화물, 승용 모두 요소수 필요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디젤차에는 반드시 요소수가 들어가야 하지요.

     

    현재 국내 요소수 수요의 80% 이상이 트레일러와 덤프트럭, 그리고 중대형 화물차에 집중되어 있고, 거기다가 2015년부터는 강화된 환경정책에 의해 그 이후 판매된 디젤 승용차에도 요소수가 필요한 승용차가 늘어났고, 2019년에는 1톤 트럭인 포터와 봉고에까지 요소수 사용이 의무화가 되기도 했었습니다.

     

    그 뿐만이 아닙니다.

     

    소방차를 비롯해서 견인차와 크레인, 기타 건설장비, 특수차들도 요소수를 사용하게끔 되어 있습니다.

     

     

     

     

     

    중국의 요소 수출제한으로 국내재고 바닥

     

    그런데 말입니다.

     

    이렇게 디젤차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존재인 요소수를 만드는 원료인 요소가 심각하게 부족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중국이 이 요소의 수출을 제한한 것인데요.

     

    이에, 국내 요소수 생산량이 줄어들것으로 예상이 되면서 가격도 오르고 제품의 품귀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몇 달 전만 해도 리터당 500원 정도였던 요소수가 최근에는 800원 정도까지 올랐다고도 하고, 10리터들이 포장 제품의 가격도 1만 2천원 정도에서 최근 10 ~ 20% 까지 판매가격이 올랐다고 합니다.

     

     

     

     

    요소수 부족으로 화물차 운행불가시 유통마비 우려도?

     

    잘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 거 같아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냥 요소수 없으면, 넣지 말고 타면 되지 않느냐고 하실 수도 있을 겁니다.

     

    하지만, 2021년 8월말을 기준으로 약 333만대의 경유 화물차가 도로를 달리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약 200만대 정도의 차량들은 요소수가 없으면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출력이 제한되는 차량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건, 디젤 승용차도 해당되는 사항인데요.

     

    일반 디젤 승용차 중에서 요소수가 필요한 차량 역시 대략 200만대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역시 요소수가 없이는 시동이 안 걸리거나 출력에 제한을 받을 수 있는 것이지요.

     

     

    이렇듯 요소수가 부족하게 되면, 많은 화물차, 트럭들이 운행을 할 수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국내 유통 물류의 마비까지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한 전문가에 따르면, 화물파업과 달리 요소수 부족으로 인한 화물차들의 운행 불가능 사태는 사회에 미칠 경제적 파급효과가 훨씬 크다고 분석할 정도입니다.

     

     

     

     

    중국에 협조부탁, 조속한 해결위해 민관의 노력 필요

     

    이에 따라 정부는 중국과 실무협의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보통 요소는 석탄에서 암모니아를 추출해서 생산하게 되는데, 최근 알려진대로 석탄 가격이 급격하게 오르면서 중국이 자국내 수요를 우선 충족시키기 위해서 사실상의 수출 제한 조치를 취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중국측에 국내 기업의 피해와 애로 사항을 전달하고 중국측의 협조를 요청했다고는 하는데요.

     

    과연 중국이 우리나라의 사정을 이해해주고 협조해 줄지는 미지수입니다.

     

    중국 이외에는 차량용 요소를 수입할 수 있는 국가는 러시아, 인도네시아 정도인데, 이들 나라 역시 상황이 여의치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그래서 이번 사태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최악의 경우 국내 유통 물류의 발이 묶이는 사태가 일어날 수도 있는 만큼, 정부의 관련 업계의 신속한 대책 강구가 그 어느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라고 하겠습니다.